5월, 2024의 게시물 표시

영국의 문화예술교육, 디자인을 중심으로

  1. NAFAE(The National Association for Fine Art Education) : 영국예술교육협회 https://www.nafae.org.uk/ 2. Cultural Learning Alliance : 문화학습연합  https://www.culturallearningalliance.org.uk/ 3. nsead : 영국 국립 미술 디자인교육 학회  https://www.nsead.org/ 4. 워터쉐드 : 영국 최초의 미디어센터  https://www.watershed.co.uk/ -퍼베이시브 미디어 스튜디오(Pervasive Media Studio) : 크리에이티브 기술허브  https://www.watershed.co.uk/studio/ 5. Nesta (National Endowment for Science, Technology and the Arts) : 영국국립과학기술예술재단, 싱크탱크  https://www.nesta.org.uk/  5. Creative Scotland : 스코틀랜드 문화외교부 산하 문화예술 산업 발전기구 https://www.creativescotland.com/

영국과 한국의 학교교육-디자인 교육에 관한 자료

이미지
  1. Oak National Academy https://www.thenational.academy/#teachers  Oak National Academy는 영국의 온라인 교육을 지원하는 독립적인 공공기관 이다. 4세부터 16세까지의 학생들을 위한 콘텐츠로 구성되어 있다. 팬데믹 기간 교육을 지원하기 위해 만들어진 곳이라고 한다.   영국의 교육과정 중 Early Years (만 3세 - 5세), Key Stage 1 (만 5세 - 7세), Key Stage 2 (만 7세 - 11세), Key Stage 3 (만 11세 - 14세)에서 이루어지는 디자인교육을 확인할 수 있었다.  1. Early Years (만 3세 - 5세) 2. Key Stage 1 (만 5세 - 7세) 3. Key Stage 2 (만 7세 - 11세) 4. Key Stage 3 (만 11세 - 14세)  한국에서는 정규 학교 교육이 아닌 학교 문화예술교육 분야에서 디자인 교육을 연구하고 있다. 1. 자료 : 2014 학교 문화예술교육 교수-학습지도안(디자인) https://www.arte.or.kr/data/research/Research_BoardView.do?biz_path=/business/school/tutor 2. 자료 :  2014 학교 문화예술교육 교수-학습지도안 개발 연구(디자인) https://www.arte.or.kr/data/research/Research_BoardView.do?biz_path=/business/school/tutor  2014 학교 문화예술교육 교수-학습지도안(디자인)에서 다룬 초등학교 1~2학년 대상 디자인 교육 연간 계획서다. 영국의 사례와 비교하여 보면 좋을 듯 하다. 

해외 도서관, 해외 교육 동향

  1. 해외도서관 동향 : 사서지원 서비스 - 월드 라이브러리  https://librarian.nl.go.kr/LI/contents/L30500000000.do 2. 교육정책네트워크 정보센터 : 교육 정책 소식, 해외 교육동향, 교육현안 분석 등  https://edpolicy.kedi.re.kr/frt/main/main.do 3. arte라이브러리 : 문화예술교육 지식정보 웹사이트. 교육 콘텐츠자료, 연구 및 세미나자료, 동영상, 국내·외 위클리뉴스, 컬렉션 등 https://lib.arte.or.kr/index.do

하버드 프로젝트 제로

  1. 홈페이지 https://pz.harvard.edu/ 2. 하버드 프로젝트 제로란? https://blog.naver.com/snpo2013/222988996308

미디어 아트 교육

  1. National Association for Media Arts Education (NAMAE) https://www.mediaartsedu.org/ 2. Digital Arts Resource Centre(Canada)  https://digitalartsresourcecentre.ca/

Learning Analytics

  1. Society for Learning Analytics Research (SoLAR) Learning Analytics https://learning-analytics.info/index.php/JLA/index 2. Learning Analytics Learning Network https://learninganalytics.net/cgi-sys/suspendedpage.cgi 3. The Learning Analytics Research Network https://steinhardt.nyu.edu/learn

디지털 역량 강화교육 : 디지털 배움터

  1. 디지털 배움터  https://www.xn--2z1bw8k1pjz5ccumkb.kr/main.do# 디지털 역량 강화교육 : -국민 누구나 쉽게 찾아가 디지털교육을 받거나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온·오프라인 교육 체계 구축하여 실생활 활용 중심 교육, 인공지능 체험교육 확대 등 디지털 이용환경 변화와 기술발전을 고려한 교육 실시 -17개 시도별 총 1000여개의 배움터를 활용하여 전문강사와 서포터즈를 배치하고, 지역별 교육수요에 맞춰 온라인(화상강의), 집합 및 방문교육 지원 (https://www.gov.kr/portal/service/serviceInfo/172100000013)

말뭉치(Corpus) 연구

  1. 연세대 말뭉치 1)연세 말뭉치 개요  https://ilis2.yonsei.ac.kr/ilis/intro/cultural_anthropology.do 2)연세 말뭉치 용례 검색 시스템  https://ilis.yonsei.ac.kr/corpus/#/ 2. 국립국어원 말뭉치 https://kcorpus.korean.go.kr/ 3. 서울대 말뭉치  http://kkma.snu.ac.kr/

education forum

  1. cambodia education forum https://cefcambodia.com/

사이버대, 사이버대학원, 학점은행제, k-mooc 학점은행 인정과정

  1. 사이버대와 사이버 대학원 정보 http://cuinfo.net/ 2. 학점은행제 1)인정 방식 : 평가인정학습과정, 학점인정대상학교, 시간제 등록, 자격증, 독학학위제, 국가무형문화재 2)교육훈련기관 조회 https://www.cb.or.kr/creditbank/eduOrg/nEduOrg1_1_List.do 3) k-mooc 학점은행 인정과정 https://cb.kmooc.kr/search

한국 미술연구 온라인 플랫폼 MMCA Research Lab

1.   https://www.mmcaresearch.kr/